티스토리 뷰
반응형
청년 미래적금(새롭게 도입 예정)과
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정리해 드릴게요.
조건, 이자 및 혜택, 중복 가입 여부,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한지 아래에 정리!
청년 미래적금이란?
- 대상: 만 19세 이상 ~ 34세 이하의 청년 (소득 기준: 개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, 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 수준 예상)
- 적금 기간: 1년, 2년, 3년 중 선택
- 정부 매칭 지원: 적금 납입 시 정부가 일정 비율(공약상 최대 25%) 추가 적립 형태로 지원 예정
- 비과세 혜택: 이자 소득 비과세 예정
- 기획 중인 제도라서, 자세한 출시 시기 및 조건은 추후 발표될 예정입니다
청년도약계좌는 뭐지?
- 대상: 만 19세 ~ 34세 청년 (소득 기준: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, 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 등)
- 납입 한도 및 정부 지원: 월 최대 70만 원 저축 시, 연소득에 따라 월 최대 3만 3천 원까지 정부 기여금 지원
- 가입 기간: 5년. 2025년부터는 2년 이상 가입자에 한해 납입금의 40%까지 중도 출금 가능
- 이자 구조: 기본 고정금리 + 우대금리 (은행별로 추가 조건 가능) 최대 6.0%
- 중복가입 안됨: 1인 1계좌만 가능
- 중도해지 시 불이익: 일반적인 중도해지는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소멸, 특별 사유 시 일부 혜택 유지 가능
중복 가입 가능 여부
청년 미래적금 & 청년도약계좌
- 청년미래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. 정부 관계자는 두 상품의 대상이 겹치고 중복 제도 정비 차원에서 "중복 가입이 되지는 않을 것 같다"라고 밝혔습니다
어떤 상품이 더 좋을까?
선택기준은 나의 상황 / 목표에 따라 다름
짧은 기간 내 목돈 마련 (1~3년) | 청년 미래적금 | 1~3년 중 선택 가능, 정부 매칭 최대 25%, 비과세 혜택 예상 |
중장기 자산 형성 (5년 계획) | 청년도약계좌 | 5년 장기, 월 최대 3.3만 원 지원, 비과세, 우대금리, 중도 출금・신용 혜택 등. |
유연한 자금 사용 필요 | 청년도약계좌 |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금의 일부(40%) 중도 인출 가능. |
더 많은 혜택 받기 | 두 상품은 중복 가입 불가, 상황에 따라 하나만 선택해야 함. |
청년 미래적금은 아직 기회중이라 출시 전까지는 공식 발표 내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!!
반응형